12-1.[os] 네트워크와 인터넷
통신과 네트워크
통신 환경의 발전
통신(communication): 의사소통
모스 부호(Morse code): 전기를 이용한 최초의 통신 수단, 짧은 음 + 긴 음, 실시간 문자 전송, 단방향 통신
전화: 통신하려는 대상을 선으로 연결하여 부호가 아닌 음성을 전달, 양방향 통신
무전기: 최초의 무선통신 기기, 양방향이나 한번에 한쪽으로만 통신 가능, 반양방향 통신
단방향 통신(simplex communication): 한쪽 방향으로만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
모스 부호, 라디오, TV 방송
양방향 통신(duplex communication):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
일반적인 전화, IP-TV(internet protocol tv)
반양방향 통신(half-duplex communication): 양방향이긴하나 한번에 한쪽으로만 통신 가능한 방식
무전기
라디오와 TV: 단방향 통신으로 송신 측에서 많은 사람에게 무작위로 전파. '방송(broadcasting)': 일대다(one-to-many)통신
IP-TV: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프로그램만 보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골라서 볼 수 있는 등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 환경의 발전
네트워크
유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기기를 하나로 연결한 것,
\=망
아날로그망, 디지털망
아날로그망: 음성 신호 전송
디지털망: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 ex) 인터넷
1세대 무선 전화망:
초기의 무선 전화망.
아날로그 신호만 전송
\= 1G = 1세대 무선 전화망
2세대 무선 전화망:
같은 통신망에 아날로그 신호 대신 디지털 신호를 전송
같은 통신 대역폭에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
3세대 무선 전화망:
휴대전화로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무선 전화망
기존의 전화 기능(음성망) + 데이터 통신(데이터망)
\= 3G = 3세대 무선 전화망
4세대 무선 전화망:
스마트폰 보급 -> 데이터 사용량 증가 & 음성 통화 줄어듦
전송 속도를 높임
고속 음성 통화 + 고속 데이터 통신
\= 4G = 4세대 무선 전화망
LTE(Long Term Evolution): 3세대 음성망 + 4세데 고속 데이터 통신 -> 3.9세대
5세대 무선 전화망:
초고속 무선통신
\= 5G
네트워크 구성 방식
강결합 시스템
tightly coupled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는 방식
메모리를 공유하면서 같은 운영체제 사용
속도가 빠름
프로세서들이 서로 공유 메모리 쓰려고 경쟁
결합 조합(combining switch): 하나의 프로세서만 골라서 메모리 접근을 허락하는 방식
약결합 시스템
loosely coupled
둘 이상의 독립된 시스템을 연결
오늘날의 네트워크 방식
각 컴퓨터는 같이 자신만의 운영체제, 메모리, 프로세서, 입출력장치를 가지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다가 필요할 때 통신선을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이나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로 통신
느리다
컴퓨터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해서 장애 발생해도 다른 시스템에 영향 안 미침
프로토콜
예전: 직접 데이터 옮김
인터넷 발달: 전선으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통신규약. 다른 기기 간에 통신을 하기 위해 정한 약속.
데이터를 누가 먼저 보낼지, 얼마만 한 크기로 보낼지, 다 보낸 다음에는 어떻게 종료할지 등의 약속
네트워크 구성 = (하드웨어적 : 2 기기 연결) + (소프트웨어적 : 프로토콜 마련)
전화기 = 전화선 연결 + 전화 프로토콜(전화번호 누르고 신호 전달되어 상대방이 수화기를 들면 통신이 시작되는 일련의 과정과 규칙)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TCP/ 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 -> P(protocol)로 끝나는 단어들
인터넷
LAN 기술의 이해
LAN: 가까운 거리에 연결된 네트워크
WAN: 국가 전체를 연결하거나 국가 간에 연결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LAN의 구조
스타형: 중간에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시스템을 두고 방사형으로 기기를 연결
링형: 모든 기기를 원형으로 연결
IBM의 토큰링 사용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토큰링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LAN
공형하게 전송기회를 줌
하나 이상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 먹통
버스형: 중앙의 버스에 독립적으로 기기를 붙여 네트워크를 구성
CSMA/CD 사용
이더넷: CSMA/CD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LAN
개별 기기 고장이 네트워크에 영향 안 미침
구축 용이, 유지보수 쉬움
-> 많이 보급됨
인터넷의 등장과 발전
LAN - 토폴로지나 프로토콜이 제각각이라 호환성이 없었음
특히 국방분야: 일관된 명령 전달하기 불편
ARPA(아르파넷): 미국 국방성에서 호환되지않는 LAN을 묶어 하나의 네트워크로 만듦
여러종류의 LAN을 연결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 만듦
이후 인터넷이 됨
IP(Internet Protocol):
LAN이 하나로 연결된 후 LAN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종종 데이터가 원래대로 전달되지 않거나 없어지곤함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데이터 전송 오류를 바로잡는 프로토콜
TCP/IP: IP 위에서 작동하게 된 프로토콜
인터넷 - 인터넷 선 + TCP/IP 프로토콜